블로그 이미지
권용호

calendar
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
Notice

2007. 12. 30. 20:19 영상예제


원본 영상을 촬영하고 애팩에서 플러그인으로 처리합니다...
posted by 권용호
2007. 12. 30. 14:56 프리미어



프리미어 프로
단축키

 

 

File Menu

새 프로젝트 만들기

Ctrl+N

프로젝트 열기

Ctrl+O

저장하기

Ctrl+S

캡쳐 창 열기

F5

Import

Ctrl+I

 

Edit Menu

Undo (실행 취소)

Ctrl+Z

Redo

Ctrl+Shift+Z

Cut (잘라내기)

Ctrl+X

Copy (복사)

Ctrl+C

Paste (붙여넣기)

Ctrl+V

Paste Insert (Insert 옵션으로 붙여넣기)

Ctrl+Shift+V

Paste Attributes (속성 복사)

Ctrl+Alt+V

Clear (삭제)

Delete

Ripple Delete

Shift+Delete

전체 선택

Ctrl+A

Sequence Menu / Timeline Window

Render Work Area (작업영역 렌더)

Enter

Razor at Current Time Indicator

(현재시간 표시기 위치에서 클립 자르기)

Ctrl+K

Zoom In (타임라인 확대)

=

Zoom Out (타임라인 축소)

-

Zoom to Sequence (시퀀스 전체 보기)

\ , \

스냅 켜기/끄기

S

선택한 클립을 1프레임 왼쪽으로 이동

Alt+,

선택한 클립을 5프레임 왼쪽으로 이동

Alt+Shift+,

선택한 클립을 1프레임 오른쪽으로 이동

Alt+.

선택한 클립을 5프레임 오른쪽으로 이동

Alt+Shift+.

작업영역 시작점 설정

Alt+[

작업영역 끝점 설정

Alt+]

전체 시퀀스를 작업영역으로 설정

작업영역을 Alt+더블클릭

현재 타임라인에 보이는 영역을 작업영역으로

설정

작업영역 더블클릭

 

시작점 / 끝점

Set In Point (시작점 설정)

I

Set Out Point (끝점 설정)

O

Go to In Point (시작점으로 이동)

Q

Go to Out Point (끝점으로 이동)

W

 

영상 재생 / 현재시간 표시기(Current Time Indicator) 이동

이전 편집점으로 이동

Page Up

다음 편집점으로 이동

Page Down

시퀀스 또는 클립 시작점으로 이동

Home

시퀀스 또는 클립 끝점으로 이동

End

Play (재생)

L 또는 Space

Fast Forward (빠른 재생)

L두번, 세번

느린 재생

Shift+L

Pause (멈춤)

K 또는 Space

Rewind (역재생)

J

빠른 역재생

J를 두번,세번

느린 역재생

Shift+J

1프레임 Rewind

1프레임 Forward

 

Trim Window

양쪽 클립 선택

Alt+1

왼쪽 클립 선택

Alt+2

오른쪽 클립 선택

Alt+3

왼쪽으로 1프레임 트리밍

왼쪽으로 5프레임 트리밍

Alt+Shift+

오른쪽으로 1프레임 트리밍

오른쪽으로 5프레임 트리밍

Alt+Shift+

Toolbox

Selection tool

V

Track select tool

M

Ripple edit tool

B

Rolling edit tool

N

Rate stretch tool

X

Razor tool

C

Slide tool

U

Slip tool

Y

Pen tool

P

Hand tool

H

Zoom tool

Z






posted by 권용호
2007. 12. 30. 14:52 영상,편집

 장면전환 방법 
 
[Cut]
ㆍ개개의 shot을 다음장면으로 연결하여 붙여가거나 화면과 화면을 바꾸는 기법인데 간단하고 쉽게 작업할 수 있어    편집작업에서 가장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 촬영할때도 커트의 연결을 생각해서 촬영해야 할만큼 커트는 촬영,
   편집의 기초가 되는 부분입니다.
   ① 스포츠에서 명장면이나 실수하는 장면을 보여줄 때 사용합니다. 장면을 연속, 반복하여 커트로 연결하여
       보여줌으로 재미와 흥미를 주고자할 때 사용할수 있습니다.
   ② 인물 화면에서 풀샷에서 바스트샷으로 변화줄 때, 또는 화면의 각도와 크기를 다르게하여 지루함을 줄이고
       변화를 주고자할 때 사용합니다.
   ③ 연속된 자세를 한동작 한동작 정지화면으로 구성하여 커트로 연결하여 연속성있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.
   ④ 각종교육강좌나 제품을 설명할 때 풀샷에서 클로즈업으로 들어가 자세하게 설명하며 화면의 변화로 제품의
       특성을 살릴 때 사용합니다.
   ⑤ 뮤직비디오, 타이틀, 등에서 많이 사용하며 커트의 길이를 10 프레임 이하 커트로 연결하여 리듬과 템포를
       빠르게하여 긴장감을 줄 수 있습니다.
[Fade-in/out]
ㆍ화면이 서서히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효과입니다.
   어두운 화면에서 점차 밝아지는 것을 페이드인(fade-in), 밝은화면에서 어두어지는 것을 페이드 아웃(fade-out)
   이라고하며 이때, 출발점이나 끝점 은 검정색 또는 흰색이 됩니다.
   ① 프로그램의 성격이 밝을때에는 white fade-in/out 을 사용하기도 합니다.
   ② 프로그램의 구성이 단락구분이나 속도를 조절할 때, 쉬어가는 느낌을 줄수있습니다.
[Dissolve]
ㆍ단어의 의미로는 녹이다. 분해하다. 의 뜻으로 앞화면이 사라지면서 다른화면이 나타나는 기법입니다.
 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중복되는 프레임 수를 확인하여 프레임 수에의해 흐르는 느낌이 다르게 나타나게
   되는 것을 활용해야 합니다.
   ① 꽃이피는 장면을 연속촬영하여 디졸브로 연결하면 시간의변화를 유연하게 표현할 수 있어 그 흐름을 한눈에
       관찰할 수 있습니다.
   ② 그림, 사진,등 정적인 자료들을 커트로만 연결하면 변화가없어 화면이 지루하게 됨으로 이때에 디졸브하여
      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.
   ③ 커트로 붙는 화면이 서로 비슷하거나 단순할 때 디졸브하면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
   ④ 지루하게 기다리는 화면이 계속될 때 인물에서 디졸브하여 화면이 시계로가서 시간의 흐름을주고 다시 디졸
       브되어 인물로 돌아오면 자연스럽게 시간의 흐름을 표현할수 있습니다.
   ⑤ 회상이나 환상적인 장면에 쓰이는 방법으로는 인물로 줌인되면서 포커스 아웃 되면 회상, 환상, 과거, 미래,
       등으로 디졸브가 됩니다.
       시간의 경과나 공간이 바뀔 때 또는 회상장면을 연출할 때 등에 사용됩니다.
[Wipe]
ㆍ단어의 의미로는 닦아내다, 씻다, 의 뜻으로 화면의 일부를 지우면서 새로운 장면이 나타나는 것입니다.
   예를들면, 원 형태의 와이프는 원안에있는 A장면이 원밖에있는 B화면을 점유하며 커지면서 원안의 A장면이
   전체 화면을 채우는것입니다.
   이때, 원주위를 부드럽게 또는, 라인을 주어 색을 줄수도 있으며 속도를 조절하여 분위기를 맞게 적용시킬 수
   있습니다.
   ① 과거의 서울모습과 현재의 서울모습을 비교할 때.
   ② 각각의 인물이나 행동을 비교할 때.
   ③ 서로 다른 장소의 상황을 동시에 보여줄 때.
   ④ 뉴스의 진행시 수화의 장면을 같이 보여줄 때.
   ⑤ 전화통화시 송, 수신자를 함께 보여줄 때 등으로 사용할수있습니다.
   ※ wipe에는 다양한 모양이 있어 알맞은 것을 선택하여 화면을 전환하는 방법입니다.
[3D]
ㆍ앞장면에 각종 3D효과를 적용하여 사라지게 하면서 뒷장면이 나타나 게하는 방법.
   최근 digital과 비선형편집의 발달은 매우 다양하고 화려한 효과가 나와있습니다.
[화면분활]
ㆍ여러 장면을 한화면에, 동시에 보여주는 방법으로, 상품의소개, 스포츠, 타이틀, 뉴스와 수화 처럼, 4분활, 8분활
   등 다양한 화면을 동시에 같이 보여줄때, 전화 통화처럼 떨어진 장소에서 일어나는, 동시상황을 보여줄 때.
   다른 시간대나 다른 사람처럼 다른장면을 비교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.


 
 
 
 Keying 이란?
 
다양한 화면합성 원리로서 한 영상신호를 다른 신호위에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것입니다.
즉, 그림의 특정부분에 다른 그림의 특정부분을 포개얹는 중첩(superimpose)과정입니다.

[Luminance Key]
ㆍcolor video신호의 밝기를 나타내는 휘도신호를 luminance signal이라 하며, 어느수준 이상이나 이하의 휘도를
  가진 신호를 중첩대상으로 하는 것.
[Chroma Key]
ㆍ특정한 색상이나 특정색을 제외한 영역을 중첩대상으로 하는 것.
[External Key (matte key)]
ㆍ위의 두가지는 원본의 특정부분을 key로 하는데 비하여 이것은 key가 되는 소스를 별도로 제작해 원본이미지와
  합성하는 것.

posted by 권용호